현실 기록/문화생활

섬머소닉 2022 도쿄 8월 21일 후기

소멸전질 2022. 8. 22. 13:58
728x90
반응형

섬머소닉 2022

3년 만에 열리는 섬머소닉입니다. 치바 ZOZO 마린 스타디움과 그 옆에 있는 마쿠하리 멧세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저는 2022년 8월 21일에 참가했습니다.

티켓의 정가는 17000엔입니다. 저는 조금 더 주고 샀습니다. 2장에 38600엔.

지하철을 꽤 타고 회장 옆 카이힌마쿠하리 역까지 왔습니다. 벌써부터 사람들이 바글바글 합니다.

마쿠하리 멧세 회장 안쪽입니다. 여기저기 시체처럼 널브러져 있는 사람들을 자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술을 잘 안 먹는 저에게도 충격적이었던 비어볼. 하이볼의 맥주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대체 왜?

섬머 소닉답게 곳곳에 소닉도 있었습니다. 세가가 공식 스폰서인 듯합니다.

새소년의 공연 전에 자리를 잡아놓기 위해서 퍼시픽 스테이지로 향했습니다.

Liella!라는 아이돌 그룹이 무대에서 공연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형광봉을 흔들며 응원을 하는 팬들의 모습이 압권이었습니다.

Liella!의 무대가 끝나고 새소년의 무대를 준비 중인 모습입니다. 운이 좋게 앞쪽 자리를 잡을 수 있었습니다.

무대 아래에서 펜스 한 장을 사이에 두고 무대 위쪽에 서있는 사람들을 보고 있자니 여러 가지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메인이 되는 마린 스타디움으로 이동해서 영블러드와 메간의 공연을 봤습니다.

사실 중간에 WANIMA의 공연이 있었는데, 저는 안 봤습니다.

영블러드의 공연은 분위기도 좋았고 무대도 열심히 하는 것 같았습니다. 그렇지만 저는 취향이 아니라 중간에 나갔습니다.

메간의 공연은 즐거웠습니다. 아는 곡은 없지만 분위기가 좋았습니다. 관객 호응은 별로 없었지만은.

파격적인 복장과 퍼포먼스였습니다.

 

메간의 다음 차례가 ONE OK ROCK(이하 원오크)이었는데, 너무 충격적이라서 사진을 찍지 못했습니다.

좋은 의미는 아닙니다. 안 좋은 의미로.

하고 싶은 말은 많으나 간단하게 줄여보자면, 우선 음악이 제 취향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음악은 취향이 갈리는 문제이니 여기까진 괜찮습니다.

관객 반응에서 한번 충격을 받았습니다.

저는 이 무대 전까지 일본 관객들은 호응이 안 좋은 줄 알았는데, 원오크의 무대는 미친 듯이 호응해주더군요.

나의 감성과 주변의 일본 청중들의 감성의 차이를 확실하게 깨달았습니다.

 

사실 음악보다는 프런트맨의 무대에서 하는 모든 말 한마디 한마디, 제스처 하나하나, 행동 하나하나가 너무나도 보고 있기 힘들었습니다.

파이널 판타지 7에서 나올 법 한 팔토시와 무릎 보호대 패션은 그렇다 쳐도, 락스타를 연기하는 듯 한, 보는 사람이 민망한 오그라드는 말과 행동의 연속이었습니다. 그리고 거기에 미친 듯이 호응하는 관객들은 아직도 이해가 안 됩니다.

멋이라는 걸 짜내는 느낌이었지만 멋은 안 나오고 깻묵이나 지게미만 나옵니다.

 

사실은 원오크의 무대를 보면서 여러 가지 부정적이고 공격적인 생각과 격한 감정들을 많이 느꼈습니다. 그러나 제 말재간이 별로라 느낀걸 잘 표현하지 못하겠습니다. 벌 받는 기분으로 한 시간을 그곳에서 서있었습니다.

 

다음 차례인 포스트 말론은 정말 최고였습니다.

원오크에서 실망한 마음을 헤드라이너의 품격을 보여주며 만족시켜주었습니다.

모든 행동에 여유와 멋이 줄줄 흐르는, 진짜 락스타의 무대를 보여주었습니다.

정말 좋았지만 좋은 것은 좋다고 하는 것 말고는 표현하기 힘드네요.

나쁜 것은 훤씬 길게 쓸 수 있는데, 포스트 말론의 무대에 대해서는 할 말이 별로 없습니다.

포스트 말론은 그냥 좋았습니다.

Sunflower-rockstar-Congraturations로 이어지는 클린업 트리오는 명불허전이었습니다.

그러나 놀라운 점은 원오크때보다 관객수나 호응이나 줄어들었다는 것입니다. 어째서?

 

전반적으로 즐거운 페스티벌이었습니다. 사실, 원오크와 함께하는 고행의 한 시간을 제외하면 전부 재밌었습니다.

내년에는 플래티나 티켓으로 참가하고 싶네요.

 

소비 평가: 4/5

축제는 즐겁습니다. 원오크는 별로였지만.

728x90
반응형